"평화와 안전" 새교황에 첫 미국 출신 프레보스트 추기경

교황명 레오 14세...가톨릭 역사상 첫 미국인 교황, 페루 빈민가에서 오랜 사목
중도 성향, 개혁-보수 균형 잡을 인물로 평가
선출 후 첫 일성 "평화가 여러분 모두와 함께 있기를"
트럼프 미 대통령 "나는 교황 레오 14세를 만나길 고대한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새교황에 첫 미국 출신 로버트 프레보스트 추기경이 선출됐다. 새로운 교황명은 '레오 14세'다. 레오 14세는 가톨릭 역사상 첫 미국인 교황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그는페루 빈민가에서 오랜 사목 활동을 해왔다. 중도 성향이며, 콘클라베를 통해 선출된 직후 첫 바런으로 "세계 평화와 안전"을 기원했다. 

 

연합뉴스가 외신을 종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133명의 추기경 선거인단은 8일(현지시간) 제267대 교황으로 미국의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69) 추기경을 선출했다.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회의) 이틀만이자, 네 번째 투표만에 결정됐다. 그가 앞으로 사용할 교황 즉위명은 '레오 14세'다. 가톨릭에서 '레오'는 라틴어로 '사자'를 의미한다. 그 이름이 주는 이미지처럼 강인함과 용기, 리더십을 상징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새 교황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 추기경은 1955년생으로 미 시카고 태생이다. 그는 1982년 사제 서품을 받았으며,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일원이다.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에서 교황을 배출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유로뉴스는 전했다.

 

새 교황 레오 14세는 미국 국적이지만 20년간 페루에서 선교사로 활동했으며, 2015년 페루 시민권도 취득하고 같은 해 페루 대주교로 임명됐다.미국인이면서도 빈민가 등 변방에서 사목한 그의 발자취가 교황 선출 요소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실제로 미국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강력한 '세속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점 때문에 미국인 출신 교황을 금기시하는 분위기가 있었다고 AP 통신은 해설했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도 바티칸 소식통을 인용해 레오 14세는 '가장 미국적이지 않은' 미국인이라고 표현했다.레오 14세는 2023년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교황청 주교부 장관으로 임명됐다. 교황청 주교부는 신임 주교 선발을 관리·감독하는 조직으로, 교황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조직 중 하나로 꼽힌다.

 

그는 특히 주교 후보자 명단을 결정하는 투표단에 여성 3명을 처음으로 포함하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개혁 조치를 주도했다고 외신은 전했다.또 프란치스코 교황의 측근이면서도 신학적으로는 중도 성향이어서 교화 내 개혁파와 보수파 사이에서 균형을 잡을 인물로 평가된다.

 

그는 이날 선출이 확정된 이후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전의 '강복의 발코니'로 나와 이탈리아어로 "평화와 안전이 여러분 모두와 함께 있기를"이라고 첫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 교황이 탄생한 건 지난달 21일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17일 만이다. 공식 취임식은 수일 내에 열릴 전망이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자국 출신 교황 탄생을 축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그가 첫번째 미국인 교황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정말로 영광"이라며 "나는 교황 레오 14세를 만나길 고대한다"고 말했다.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