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인파사고, 화재, 산불, 풍수해 등 재난안전 연구개발 대상 9건 선정
국무총리상 ‘머신러닝 기반 재난안전 취약시설 붕괴 예측용 IoT 스마트 계측 시스템 개발' 선정
감지 성능 향상된 센서와 AI 분석기술 사용해 시설 붕괴 높은 정확도 예측할 수 있는 기술
충남 서천서 발생한 붕괴 사고 당시 조기 경보에 활용 인명피해 예방에 기여
‘야간산불 대응을 위한 산불진화대 활동지원차’은 우수 진화 성능으로 야간 산불이나 지하주차장 화재 대처 기여
‘지반침하 변형대응 신축관이음 및 원격변형계측 시스템’은 지반침하 발생 시 손상되는 지하매설상수관로 이음관의 내구성 높여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2025년 대한민국 재난안전 연구개발 9건이 대상 선정됐다. 행정안전부(장관 윤호중)는 13일 재난·안전관리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연구개발 9건을 ‘2025년 대한민국 재난안전 연구개발 대상’으로 선정했다. ‘대한민국 재난안전 연구개발 대상’은 재난·안전관리 분야 연구자의 자긍심을 높이고 관련 기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2019년부터 매년 수여하고 있다. 국무총리상(부상 300만 원)은 ‘머신러닝 기반 재난안전 취약시설 붕괴 예측용 IoT 스마트 계측 시스템 개발(스마트이앤씨㈜, 김용성)’이 선정됐다. 감지 성능이 향상된 센서와 AI 분석기술을 사용해 시설 붕괴를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기술로, 올해 7월 충남 서천 지역에서 발생한 붕괴 사고 당시 조기 경보에 활용돼 인명피해 예방에 기여했다. 행정안전부장관상(부상 각 100만 원)은 인파사고, 풍수해, 화재, 지질 등 다양한 재난 분야에서 총 8개의 연구과제가 선정됐다. ‘대국민 재난문자서비스 고도화 기술(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승희)’은 송출 단위 세분화(시·군·구→읍·면·동), 다국어 동시 송출, 글자 수 확장 등 재난문자 서비스의 품질 향상과 편의성 개선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