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겨울 못지 않는 꽃샘 추위는 계속된다. 토요일인 2일에도 전국적으로 기온이 낮고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3일이 지나서야 날씨는 풀릴 것으로 전망된다. 기상청은 2일 아침 기온은 경기 북부·남동부와 강원 내륙·산지, 충북 북부, 경북 북부 내륙에서 영하 10도 이하, 그 밖의 대부분 지역은 영하 5도 이하로 전날보다 2∼8도가량 더 떨어질 것으로 예보했다.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11∼영하 1도, 낮 최고기온은 영상 3∼7도로 평년(최저기온 영하 5∼영상 4도, 최고기온 영상 7∼12도)보다 낮을 전망이다. 아침까지 제주도에는 비 또는 눈이, 전북 남서부와 전남권 서부에는 눈이 내리는 곳이 있다. 경기 동부와 강원 영서는 오후부터, 충북과 전북 동부·경북 북부 내륙은 늦은 밤부터 3일 오전 사이 눈이 내리는 곳이 있을 예정이다. 해기차(해수면 온도와 기온 차이)에 의한 예상 적설량은 광주·전남 서부·울릉도·독도 1㎝ 안팎, 전북 남서부 1㎝ 안팎, 제주도 산지 2∼7㎝, 제주도 중산간 1∼5㎝, 제주도 북부 1㎝이다. 해기차에 의한 예상 강수량은 광주·전남 서부·울릉도·독도 5㎜ 미만, 전북 남서부·제주도 5㎜ 안팎이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이 왔지만 봄이 온 것 같지 않다. 사회적으로 추운 세상을 말하지만 실제로 봄기운이 돌아야 하는 3월 첫날 영하의 쌀쌀한 날씨가 계속된다. 날씨는 28일부터 춥지만 3월 첫주 추위가 절정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봄이 시작되는 3월 첫날부터 기온이 크게 떨어지며 꽃샘추위가 찾아온다고 28일 기상청이 예보했다. 3·1절 연휴 동안 춥거나 비가 오는 등 궂은 날씨가 이어질 전망이다. 서울 체감온도는 -10도, 평창 -23도로 예상된다. 기상청에 따르면, 29일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비 또는 눈이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새벽에 제주에서 시작한 비는 오전에 남부 지역과 충청권까지 확산할 전망이다. 예상 강수량은 충청권은 1~5㎜, 전라권과 경상권 5~20㎜, 울릉도·독도 5㎜, 제주도 10~40㎜다. 고도가 높은 곳은 비가 아닌 눈이 내릴 수 있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예상 적설은 전라권 1~3㎝, 경상권 1~5㎝, 제주 산지 3~10㎝다. 비가 온 뒤에는 전국 기온이 큰 폭으로 하강할 전망이다. 저기압 통과 후 북서쪽에서 찬 고기압이 강하게 확장해 1일 서울은 아침 최저 기온이 -5도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폭설이 내일(23일)까지 더 온다. 지역에 따라 30cm에서 많게는 40cm까지 내린다. 기상청은 22일 오전 7시 대설특보가 발효된 수도권과 강원도, 충남권 북부, 충북, 경기 북부·서부에 시간당 1∼2㎝의 눈이, 그 밖의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 또는 눈이 오는 곳이 있다고 밝혔다. 수도권과 강원 내륙은 이날 오전, 충청권은 이날 밤에 비 또는 눈이 차차 그칠 전망이다. 경기 내륙과 강원 내륙은 다시 밤에 눈이 오는 곳도 있다고 예보했다. 기상청은 20일부터 강원 산지와 경북 북동 산지에는 20∼60㎝ 안팎의 매우 많은 눈이 내려 쌓여 있고, 그 밖의 중부지방과 경북 내륙에는 5∼10㎝ 안팎의 적설을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강원 영동과 경북 북부를 중심으로 많은 눈이 예상된다”며 비닐하우스 등 시설물 피해 유의를 당부했다. 23일에도 눈은 계속된다 특히 강원 동해안과 강원 산지, 경북 북동 산지에, 제주도에는 비 또는 눈이 오는 곳이 있고, 아침까지 전라권과 경상 서부 내륙, 경상권 동해안에도 가끔 비 또는 눈이 오는 곳이 있다고 기상청은 전망했다. 24일에는 제주도에 비가 오겠고, 오후부터는 전남권에도 비가 오는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전국이 대체로 흐린 가운데 비가 내렸다가 눈이 내렸다가 다시 비가 내리는 강우, 강설이 이어지겠다. 날씨도 당분간 추울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서울을 포함한 중부지방과 경북 지방에는 21일 낮부터 비가 내리겠으며, 밤부터는 눈과 비가 교차해 내리겠다고 예보했다. 우리나라 북쪽에 대륙고기압이 자리하고 남해상으로는 저기압이 연이어 지나가면서 당분간 강원동해안·강원산지·경북북부동해안·경북북동산지에 눈 또는 비, 제주에 비가 내리겠다. 나머지 지역에는 22일 오전까지 비나 눈이 오겠다. 영남엔 22일 낮, 호남엔 22일 밤까지 강수가 이어지는 곳이 있겠다. 강원북부산지엔 대설경보, 강원중·남부산지와 태백시엔 대설주의보, 강원동해안·경북북동산지·강원영서·경기북동부엔 대설예비특보가 내려져 있다. 강원동해안·강원산지·경북북부동해안·경북북동산지엔 21~22일 시간당 1~5㎝씩 눈이 쏟아질 때가 있겠으며 경기북부내륙·경기남동부·강원내륙·충북북부·경북북부에도 많은 눈이 오겠다. 22일까지 예상 적설량은 강원산지 30~50㎝(최대 70㎝ 이상), 강원동해안 20~40㎝(최대 50㎝ 이상), 경북북동산지 10~40㎝(최대 50㎝ 이상), 경북북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일요일인 18일 오후부터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 이 비는 25일까지 이어지고, 한 주 내내 흐린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온은 평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겠다고 기상청은 예보했다. 17일 기상청에 따르면, 18일 오후부터 기압골의 영향으로 전국이 흐리고 비가 오다가 19일 오후 6시 전후로 그칠 것으로 보인다. 남해안과 제주도를 중심으론 바람이 매우 강하게 불겠으니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이날 아침 기온은 -3~15도, 낮 기온은 2~20도를 오르내리겠다. 화요일(20일)부터 금요일(23일)까지도 전국 대부분 지역에 흐린 날씨와 함께 비 또는 눈이 내리겠다. 화요일에 내리기 시작한 비 또는 눈은 수도권과 강원영서지방의 경우 수요일(21일)에 그치겠다. 나머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선 목요일(22일) 오전에 비 또는 눈이 멎겠다. 다만 제주도의 경우 금요일까지 비가 이어지겠다. 강수지역과 시점은 기압골의 발달 정도와 이동 속도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기간 아침 기온은 -4~11도, 낮 기온은 2~12도가 되겠다고 기상청은 예보했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설 연휴 첫날 포근한 날씨로 출발할 것 같다. 기상청은 9일 연휴 첫날 전국이 대체로 맑고 기온이 올라 따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9일 오전 5시 현재 기온은 서울 -1.7도, 인천 -1.6도, 수원 -3.6도, 춘천 -5.2도, 강릉 -0.5도, 청주 -1.5도, 대전 -2.8도, 전주 -1.3도, 광주 -1.3도, 제주 6.0도, 대구 -1.7도, 부산 4.9도, 울산 2.0도, 창원 2.3도 등이다. 낮 최고기온은 4∼11도로 예보됐다. 이날 오전 10시까지 충청권내륙과 전북내륙을 중심으로 가시거리 200m 미만의 짙은 안개가 끼는 곳이 있겠고, 그 밖의 지역에도 가시거리 1km 미만의 안개가 끼는 곳이 있겠다. 기상청은 "강이나 호수, 골짜기 주변, 터널 입.출구에서는 안개가 더욱 짙게 끼는 곳이 있겠고, 안개로 인해 도로 살얼음이 나타나는 곳이 있어 도로가 매우 미끄럽겠으니, 연휴 귀성길 안전거리 확보와 저속 운행으로 교통안전에 각별히 유의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10일 전라권과 제주도에 비나 빗방울이 내린 후 밤부터 기온이 낮아지면서 도로 살얼음이 나타나는 곳이 있겠다. 기온은 평년(최저기온 -10~0도, 최고기온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5일 출근길은 우산을 준비해야 할것같다. 4일 저녁부터 제주 호남을 시작으로 5일 새벽에는 전국적으로 비가 내릴 전망이다. 일부 지역은 6일까지 비나 눈이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4일 기상청에 따르면 북쪽 고기압에서 부는 찬 공기와 남쪽 해상에서 올라오는 따뜻한 공기가 중국 내륙에서 만나 이날 낮부터 저기압이 발달하고 있다. 이 저기압이 점차 우리나라로 다가오면서 이날 저녁 호남과 제주에 비가 오기 시작하겠다. 기상청은 또 5일 새벽부터 오후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에 비나 눈이 내리겠다고 예보했다. 이때가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가장 근접해 지나는 때다. 남부지방은 저기압의 직접 영향으로, 내륙은 저기압 뒤쪽에 따라오는 기압골에 의해, 동해안을 비롯해 강원영동은 북쪽에 자리한 고기압에서 동풍이 불면서 강수가 이뤄지겠다. 5일 밤에는 저기압이 일본 남쪽 해상으로 완전히 빠져나가면서 저기압 뒤쪽과 고기압에서 부는 동풍을 맞는 지역과, 저기압 뒤쪽 기압골이 잔존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약하게 비가 내리겠다. 이번 강수는 대부분 지역에서 6일 아침까지 계속되겠다. 이번에 강수가 집중되는 지역은 저기압과 가장 가까울 제주·남부지방과 '북고남저'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24일에도 강추위는 계속된다. 그리고 제주·호남·충남서해안에 많은 눈도 이어지겠다. 24일 오전 6시 현재 대설특보가 발효된 충남권, 전라권, 제주도를 중심으로 시간당 1~2cm 내외의 눈이 오는 곳이 있다고 기상청은예보했다. 주요지점 신적설 현황(22일 00시~24일 06시 현재, 단위: cm)은 다음과 같다. - 충청권: 송악(아산) 10.8 서천 8.7 천안 8.4 청주 3.3 - 전라권: 복흥(순창) 31.8 정읍 27.9 상무대(장성) 22.5 고창군 20.1 월야(함평) 18.0 - 경북권: 울릉도 24.7 천부(울릉) 9.2 - 제주도: 사제비 39.1 어리목 34.3 삼각봉 19.3 24일 아침까지 경기남부서해안과 충남권, 충북중.남부에, 오전까지 전라권에 눈이 오는 곳이 있겠고, 제주도는 25일 오전까지 비 또는 눈(산지 눈)이 오는 곳이 있겠다. 충청권과 전라권, 제주도에 많은 눈이 쌓인 가운데, 24일 오전까지 추가적으로 많은 눈이 예상된다. 기상청은 쌓인 눈으로 인해 도로가 매우 미끄럽겠고, 내린 눈이 얼어 빙판길이 예상되니 교통 안전과 보행자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당부했다. 항공.해상교통에 관해서도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23일 전국적으로 최강 한파가 몰아치면서 지역 곳곳에서 크고 작은 피해가 잇따랐다. 맹추위로 인해 한반도 하늘길은 물론 육상길마저 막혔다. 23일 제주국제공항에 강풍과 폭설이 몰아치면서 400편이 넘는 항공편이 결항해 이용객 2만여 명의 발이 묶였다. 결항과 지연이 거듭되면서 제주 공항은 큰 북새통을 이루었다. 뿐만 아니라 빙판길 사고도 속출했다. 서울을 비롯한 전국 대부분 지역에 한파특보가 발표된 가운데 지역 곳곳에서 크고 작은 사고와 피해가 있따랐다. ◇ 하늘길·뱃길 발 묶여…2024청소년올림픽 일정도 변경 한국공항공사 제주공항과 항공업계에 따르면 23일 서울 김포공항에서 출발해 오후 2시 53분께 제주에 도착한 이스타항공 ZE215편을 마지막으로 제주 하늘길이 끊겼다. 이날 운항이 예정됐던 국내선 항공편 총 419편(출발 210, 도착 209) 가운데 14편(출발 6, 도착 8)만 운항했으며, 그나마 10편(출발 5, 도착 5)은 지연 운항했다. 국제선은 34편(출발 17, 도착 17) 중 12편(출발 5, 지연 7)이 운항했으며 18편(출발 9, 도착 9)이 결항됐거나 사전 비운항 조치됐다. 이후 대부분의 비행기 운항이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전국이 맹추위로 꽁꽁 얼어붙었다. 23일 전국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18도에서 영하 4도 사이다. 서울은 아침 기온이 영하 14도, 체감온도는 영하 21도까지 내려갔다. 일부 지역에선 폭설이 내려 육상 교통이 통제되고 있다. 23일 아침 대부분 지역 기온이 영하 10도 이하, 특히 중부내륙과 경북내륙은 영하 15도 이하까지 떨어졌다. 이번 추위는 당분간 계속된다. 기상청은 23일 오전 5시 10분 현재(05시), 충남권과 전라권, 제주도에 대설특보가 발효된 가운데, 시간당 1~4cm의 눈이 오는 곳이 있다고 밝혔다. 이 시간 현재 충남권의 강설량은 송악(아산) 8.4 서부(홍성) 4.9 당진 3.6 유구(공주) 3.4cm를 기록하고 있다. 전라권은 복흥(순창) 16.0 정읍 13.2 광산(광주) 13.0 장성 11.0 부안 10.3 고창군 7.8 학산(영암) 6.8 심포(김제) 6.7이다. 경북권은 울릉도 9.5cm이며, 제주도는 어리목 16.3 사제비 15.4 산천단(제주) 6.8 한남(서귀포) 5.6cm다. 기상청은 "23일은 서해상에서 유입되는 눈구름대의 영향으로 충남권과 전라권, 제주도에 눈이 온다"고 예보했다.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