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손해보험협회, 금감원과 함께 보험사기 근절 집중 홍보 추진

생명·손해보험협회와 금융감독원이 협업
사회초년생 대상으로 보험사기의 위험성 강조

 

한국재난안전뉴스 이용훈 기자 | 생명·손해보험협회(회장 김철주, 회장 이병래)와 금융감독원은 국민이 보험사기의 심각성과 위험성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대국민 집중 홍보를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최근 대출·취업 알선 등을 미끼로 사회초년생을 노린 보험사기 수법이 확산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2030세대를 주요 대상으로 한 온·오프라인 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 규모는 1조 1,502억 원, 적발 인원은 10만 명을 넘어서는 등 특정 연령층을 가리지 않고 피해가 확산되고 있어 사회적 폐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보험사기 근절을 위해서는 사후적인 엄정 처벌과 함께 국민적 관심과 경각심 제고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금융감독원과 생·손보협회는 2030세대가 자주 이용하는 토스·PAYCO 등 금융거래 애플리케이션 배너 광고와 참여형 이벤트를 진행하고, 대형 버스 LED 전광판을 통해 일반 대중에게 보험사기의 엄중한 처벌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병·의원 방문 환자들이 ‘가짜 환자’로 둔갑해 보험사기에 연루되는 사례를 예방하기 위해, 병·의원이 입점해 있는 건물 내 영상 홍보도 병행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이 자연스럽게 보험사기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경각심을 갖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금융감독원은 생·손보협회와 협업해 이번 대국민 집중 홍보를 차질 없이 추진할 방침이다. 아울러 경찰, 보험업계와의 지속적인 공조를 통해 보험사기에 대한 엄정한 처벌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국민이 보험사기 의심 사례를 발견할 경우 금융감독원 또는 보험회사 보험사기 신고센터에 적극 제보해 줄 것을 당부했다.

관련기사

2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