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과학원 "영남 산불로 온실가스 3,660,000t 배출 추정"

"중형차 3400여대 서울∼부산 왕복 배출량과 동일"
산불영향구역은 4만8239㏊...온실가스 배출량은 이산화탄소 324만5000t
메탄 27만2000t, 이산화질소 14만3000t으로 총 3,660,000t 추정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산림과학원이 영남 산불로 온실가스 366만t이 배출되었다고  추정했다. 이는 중형차 3400여대가 서울∼부산 왕복 배출량과 동일하다고 밝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달 21∼30일 경북·경남·울산 등에서 발생한 산불로 온실가스 약 366만t CO2eq(이산화탄소 환산량)가 배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8일 밝혔다. 산불이 발생하면 나무의 잎과 가지가 불에 타면서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배출량은 산불 피해 면적과 산림의 양을 바탕으로 산정할 수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산불에 따른 잠정 산불영향구역은 4만8239㏊다. 이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산화탄소 324만5000t, 메탄 27만2000t, 이산화질소 14만3000t으로 총 366만t으로 추정됐다.

 

이는 현재까지 잠정 산불영향구역을 바탕으로 추산한 것으로, 산불 피해지 조사를 통해 피해 면적과 산림의 양이 증가하면 온실가스 배출량도 늘어날 수 있다.온실가스 배출량 366만t은 2022년 기준 산림의 온실가스 순 흡수량 3천987만t의 9.2% 수준이다.이는 중형차 약 3천436만대가 서울과 부산을 왕복(800㎞)할 때 배출하는 양과 같다.

 

결국 산불이 발생하면 대기 중으로 많은 양의 온실가스가 즉각적으로 배출돼 국민의 건강과 안전, 재산 피해가 엄청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소한 불이라도 산불로 번질 우려가 있다는 점을 인식, 주민들은 산불 예방에 철저히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1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