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용훈 기자 | 한화시스템과 한화오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한화그룹(대표 김동관) 방산 3사는 25~27일(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리는 국제방산전시회 ‘ADAS 2024’에 참가해 해양 방산 종합 역량을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ADAS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가장 큰 방산 전시회 중 하나로 올해로 10주년을 맞았다. 한화 방산 3사는 이번 전시에서 ▷저궤도 통신위성 기반 육·해·공·우주 초연결 솔루션 ▷함정의 두뇌 ‘전투체계’ ▷중형급 수출형 잠수함 2종 ▷수출형 4000톤 호위함 ▷다연장로켓 ‘천무’ 등 대표 제품과 미래 해군을 위한 첨단 해양 무기체계를 선보인다. 한화시스템은 유무인 복합체계 운용을 실현시킬 ‘초연결 솔루션’의 청사진을 소개하며 함정의 다양한 첨단 장비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수상함 통합 전투체계(ICS)’와 잠수함의 수상·수중 장비를 통합 운용할 수 있는 ‘잠수함 전투체계(CMS)’를 전시한다. 한화오션은 중형급 수출형 잠수함 2종과 자체 개발한 수출형 4000톤급 호위함 등을 선보이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천무와 ▷CTM-290 ▷CTM-MR ▷GR-080 등 유도탄 3종을 전시한다. 한화 관계자는 “필리핀
한국재난안전뉴스 장수빈 기자 | 한화그룹(대표 김승연) 우주사업 협의체 스페이스허브가 '재사용 무인 우주비행체’ 기술 개발에 도전한다. 스페이스허브는 최근 서울대 등 13개교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재사용 무인 우주비행체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8일 밝혔다. 국내 우주기업 중 재사용 무인 우주비행체 기술 개발에 뛰어든 기업은 한화가 처음이다. 이번 협약식에는 신현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와 한화 스페이스허브 3사 임원진을 포함해 홍유석 서울대 공과대학장, 김종암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등이 참석했다. ‘재사용 무인 우주비행체’란 우주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나간 뒤, 자체 추진력으로 장시간 우주에서 비행하며 관측·연구·국방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우주선을 말한다. 임무를 마치고 지구로 귀환한 뒤 우주발사체를 통해 여러 차례 우주에 재진입할 수 있다. 또 재사용을 통해 발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더 빠르게, 자주 임무에 투입할 수 있어 미국·중국 등 주요 우주 강대국에서도 경쟁적으로 개발하는 추세다. 스페이스허브는 최근 진행한 서울대와의 업무 협약식에서 ▲연구실·세부과제 참여 협력 ▲상호 보유한 기술·영업적 역량 협력 등 세부 사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