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채연 기자 | HD현대(회장 권오갑)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이 최근 아프리카 소재 선사와 18,000입방미터(㎥)급 LNG 벙커링선 4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총 5,383억 원이다. 이번에 수주한 LNG 벙커링선 4척은 길이 143m, 너비 25.2m, 높이12.9m 규모다. 울산 HD현대미포에서 건조해 2028년 하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할 예정이다. LNG 벙커링선은 ‘선박 대 선박(Ship To Ship, STS)’ 방식으로 해상에서 LNG를 충전해주는 선박이다. STS는 기존 항만에 LNG 공급·저장 시설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대량 충전도 가능해 LNG 충전 방식 중 가장 선호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의 친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LNG 벙커링선에 대한 수요는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한국LNG벙커링산업협회에 따르면 LNG를 추진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LNG운반선 제외)의 수는 2023년 472척에서 2033년 1,174척으로14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 벙커링용 LNG의 연간 소비량 역시 늘어나 2028년 1천 5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
한국재난안전뉴스 김세미 기자 | HD현대(대표 권오갑)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메탄올추진 컨테이너선 7척 수주에 성공했다. 한국조선해양은 14일(화)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HMM과 9000TEU급 메탄올추진 컨테이너선 7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금액은 총 1조 1100억 원 규모다. 이번 계약으로 한국조선해양은 지금까지 총 54척의 메탄올추진선을 수주하며 세계 최다 실적을 보유하게 됐다. 이날 체결식에는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을 비롯해 가삼현 한국조선해양 부회장, 김경배 HMM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에 수주한 메탄올추진 컨테이너선은 길이 274m, 너비 45.6m, 높이 24.8m 규모로, 전남 영암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돼 2026년 상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이 선박에는 메탄올 이중연료 추진 엔진이 탑재된다. 메탄올은 기존 선박유에 비해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온실가스 등 오염물질 배출을 대폭 줄일 수 있어 차세대 친환경 연료로 각광받고 있다.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발주된 친환경 선박은 총 545척으로, 전년 대비 약 42% 증가했다.
한국재난안전뉴스 김세미 기자 | HD현대(대표이사 권오갑)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총 9714억원 규모의 새해 첫 수주에 성공했다. 한국조선해양은 최근 오세아니아 소재 선사와 20만입방미터(㎥)급 초대형 LNG운반선 3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에 수주한 LNG운반선은 길이 299.8m, 너비 48.9m, 높이 26.9m 규모다.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돼 2026년 상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이번 계약으로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LNG운반선을 수주하게 됐다. 한국조선해양은 2017년부터 매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LNG운반선을 수주해오며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전 세계서 발주된 LNG운반선 총 173척 가운데 가장 많은 44척을 수주한 바 있다.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는 지난해 9월 발표한 '클락슨 포캐스트 클럽(Clarksons Forecast Club)'에서 올해 LNG운반선 발주가 83척에 달해 지난해에 이어 견조한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현대중공업그룹(대표 한영석·이상균)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대표 가삼현·정기선)이 총 1조9,628억원 규모의 대형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7척을 수주했다고 10일 밝혔다. 한국조선해양은 아시아 소재 선사와 17만 4000입방미터(㎥)급 LNG운반선 7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조선해양부문에서 총 161척, 192억9천만 달러 어치를 수주해 연간 수주 목표인 174억4천만 달러의 약 110.6%를 달성, 목표 수치를 넘어섰다. 이번에 수주한 LNG운반선은 길이 299m, 너비 45.4m, 높이 26.5m 규모로 울산 현대중공업에 건조되어 2026년 하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선주사에게 인도될 예정이다. 한국조선해양측은 수주한 국가명은 밝히지 않았지만 선박 규모와 가격 등으로 보았을 때 카타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정된다. 최근 카타르 국영 석유사 카타르페트롤리엄(QP)은 국내 조선사와 100척이 넘는 LNG선 건조 슬롯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올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LNG운반선(총 41척)을 수주한 한국조선해양은 앞선 2020년과 2021년에도 각가 21척, 26척을 수주해 LNG운반선 시장점유율
한국재난안전뉴스 장수빈 기자 | 한국조선해양(대표 가삼현·정기선)이 석유화학제품운반선(PC선) 3척 추가 수주에 성공하며 6개월 만에 올해 연간 수주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고 10일 밝혔다. 한국조선해양은 최근 유럽·아프리카 소재 선사와 PC선 3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으며, 수주 금액은 2507억원이다. 또 이번에 수주한 PC선은 11만5000톤(t)급이며 현대베트남조선에서 건조해 2024년 하반기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인도 할 예정이라고 한국조선해양 측은 설명했다. 한국조선해양은 이번 계약으로 올해 들어 현재까지 총 140척, 175억2000만달러(약 22조7760억원)어치를 수주했다. 이는 연간 목표인 174억4000만달러(약 22조6720억원)를 초과 달성한 것이다. 선종별로는 컨테이너선 ▲79척 ▲PC선 9척 ▲탱커선 2척 ▲벌크선 4척 ▲LNG운반선 34척 ▲LPG운반선 2척 ▲자동차운반선(PCTC) 2척 ▲로로선 2척 ▲특수선 6척을 수주했다. 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까지 포함한 한국 조선 빅3는 올해 상반기 세계 선박 발주량의 45.5%(979만CGT)를 수주해 중국(926만CGT·43%)을 따돌리고 4년 만에 1위를 되찾았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현대중공업(대표 한영석·이상균)과 한국조선해양(대표 가삼현·정기선)이 차세대 LNG 연료공급시스템 Hi-eGAS(Hyundai High Efficient Gas Supply System)을 개발, 노르웨이선급(DNV)과 영국선급(LR)으로부터 기본설계 인증(AIP)을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Hi-eGAS(Hyundai High Efficient Gas Supply System)’은 LNG추진선의 연료 공급 과정에서 버려지는 열을 재활용해 기존보다 연료소모와 탄소 배출량을 각각 1.5% 줄여 연료비 절감을 돕는다. LNG추진선은 영하 163도의 액화천연가스를 가열·기화시켜 연료로 사용하는데 해당 과정은 추가적인 연료 소비와 탄소가 배출되는 단점이 있다. Hi-eGAS는 선박 엔진의 폐열로 LNG연료를 거열해 불필요한 연료 소모를 줄여 연료비와 탄소배출 모두 절감했다. 또한, 국내 기자재업체와 Hi-eGAS 핵심 부품인 열교환기를 공동으로 개발해 LNG 연료공급시스템 내 결빙 발생 위험을 크게 낮췄다.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4분기 전세계에서 발주된 선반의 60%가량이 LNG추진선이다. LNG추진
한국재난안전뉴스 노혜정 기자 | 현대중공업그룹(사장 이상균)의 조선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5895억원 규모의 컨테이너선 4척을 수주했다고 1일 밝혔다. 한국조선해양은 최근 라이베리아 소재 선사와 컨테이너선 4척의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수주 금액은 약 5895억원이다. 이번에 수주한 선박은 중대형급 컨테이너선으로 추정되며,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해 2024년 하반기까지 인도한다.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들어 현재까지 총 70억달러(한화 약 8조5113억원) 규모 68척을 수주해 연간 수주목표인 174억4000만달러의 40%를 달성했다. 한국조선해양은 “이번에 공시한 계약금액은 계약일인 2022년 3월30일 기준 환율(1220.5원/달러)을 적용해 계산한 금액”이라며 “계약기간은 2022년 3월 31일부터 2025년 6월 9일까지다”라고 말했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선임기자 |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대표 한영석, 이상균)이 1조5600억원 규모의 선박 9척을 수주했다고 3일 밝혔다. 한국조선해양에 따르면, 최근 유럽 및 중남미 소재 선사로부터 20만㎥(입방미터)급 대형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3척, 8천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급 대형 컨테이너선 6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 이번 수주한 LNG운반선은 길이 299.8m, 너비 48.9m, 높이 26.9m 규모로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돼 2025년 하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이 선박에는 운항 중에 발생하는 증발 가스를 재액화해 선박의 경제성을 높이는 LNG 재액화 기술도 적용될 예정이다. 함께 수주한 컨테이너선 6척은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돼 2024년 하반기까지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각국의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친환경 원료인 LNG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LNG운반선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며 "친환경 선박 기술 고도화를 통해 이 분야를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해양설비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 해상 LNG 물동량은 지난해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선임기자 |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총 5110억원 규모의 선박 5척을 수주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조선해양은 최근 아시아 소재 선사 2곳과 7900TEU급 LNG추진 컨테이너선 3척, 5만톤급 PC선 2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수주한 LNG추진 중형 컨테이너선은 전남 영암의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돼 2024년 상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된다. LNG 이중연료 추진엔진을 탑재해 강화된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를 만족할 수 있다. PC선은 현대베트남조선에서 건조돼 2023년 하반기에 선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한국조선해양 관계자는 "이번 수주를 계기로 PC선 계약에는 옵션 2척이 포함돼 추가 수주도 기대된다"면서 "연초부터 여러가지 선종에 걸쳐 수주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품질의 선박을 건조해 선사 만족도를 높여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중간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대표 정기선)이 선박 9척을 1조3천300억원에 수주하는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4일 선박 10척, 1조6700억원 규모의 수주를 이어 새해 일주일만에 약 3조원 상당의 선박을 수주했다. 최근 유럽 및 중남미 소재 선사 3곳으로부터 1만6000TEU급 이중연료 추진 대현 컨테이너선 4척, 17만4000입방미터(m3)급 대형 LNG운반선 1척, 2500TEU 컨테이너선 4척 등 총 9척에 대한 선박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수주한 대형 컨테이너선은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돼 2025년 상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선주사에 인도되며, 이중연료 추진엔진이 탑재되어 있어 친환경 원료와 디젤 모두 연료로 사용 가능하다. LNG운반선은 길이 297m, 너비 46.4m, 높이 26.5m로 전남 영암의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돼 2025년 상반기까지 선주사에 인도된다. 2500TEU 컨테이너선은 울산현대미포조선에서 건조돼 2023년까지 순차적으로 인도된다.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는 올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지난해보다 다소 줄어든 3600만 CGT(표준선환산톤수)가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