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강해지는 재난"..전국토 100m 단위로 쪼개 8대 재난재해 분석한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ㅣ지진, 붕괴, 화재, 폭발, 폭염, 강풍, 폭우, 폭설 등 8대 재난재해 유형별 취약성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쇠퇴지역 재난대응형 통합플랫폼'이 개발됐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의 재난대응 통합 플랫폼을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LH는 "이 플랫폼은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국책연구과제인 '쇠퇴지역의 도시공간 위험성 분석 및 도시회복력 향상 기술개발'을 통해 구축한 것"이라고 소개했다. '쇠퇴지역 재난대응형 통합플랫폼’은 재난재해 취약성을 분석하는 재난재해 진단시스템, 취약한 재난재해 유형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계획수립 지원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기후변화로 자연재해 발생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선제적인 재난재해 대응이 필요하고, 많은 피해가 예상되는 쇠퇴지역의 도시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 및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이다. 진단시스템은 기존 집계 단위보다 작은 격자 단위(100m)로 구축돼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전 국토의 위험도에 대한 상시DB를 활용할 수 있어 분석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재난재해 진단시스템은 전 국토를 대상으로 재난재해 위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