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의심 신고 급증"...식약처, 정부‧지자체와 확산차단 분주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이하 식약처)는 최근 식중독 의심 신고가 급증함에 따라 추가 발생을 예방하고 대규모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21일 교육부, 보건복지부, 17개 시‧도와 함께 긴급 영상회의를 개최하고, 식중동 사고를 미연에 방지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최근 신고된 식중독 의심사례 현황과 대응 상황을 공유하고, 현재 의심 신고가 증가하고 있는 식중독의 원인을 파악해 확산을 차단 할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올해 1분기 식중독 의심 신고 건수는 최근 5년 같은 기간에 비해 2배 정도 증가했으며, 이는 음식점과 어린이집‧유치원 등 영유아 시설을 중심으로 식중독 발생이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음식점은 ('18~'22년 1분기 평균) 27건, 290명 → ('23년 1분기) 63건, 448명으로 늘었으며, 영유아 시설은 ('18~'22년 1분기 평균) 19건, 231명 → ('23년 1분기) 49건, 601명으로 크게 늘었다. 신고된 사례에서 식중독 원인 병원체가 확인된 107건(환자수 1,359명) 중 노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 식중독이 85건으로 전체의 79%를 차지했으며, 어린이집 등 영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