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우울하고 불안한 어린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정신과 병원을 찾은 어린이들이 4년 새 2배로 늘어났다. 7-12세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증세가 심하다. 자주 화를 내고, 조그만 충격에도 숨을 헐떡이고,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 어린이날을 하루 앞둔 4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우울증 등 정신건강의학과 관련 질환으로 의원을 찾은 18세 미만 아동 환자는 27만625명으로 2020년(13만3235명)과 비교했을 때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연합뉴스가 이 자료를 인용 보도한 바에 따르면, 정신건강의학과 관련 질환 관련 아동 환자는 2020년 이후 2021년 17만2441명, 2022년 21만2451명, 2023년 24만4884명으로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정신과 진료를 위해 의원을 찾은 아동 환자는 이 기간 연평균 19.4% 증가했다. 환자 수 증가세는 7∼12세 연령대에서 특히 가팔랐다. 7∼12세 남자 아동 환자는 2020년 3만3800명에서 2024년 7만6159명으로 2.3배로 늘었다. 동일 연령대 여자 아동 환자는 1만2천260명에서 2만9천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신체에 반복적으로 부담을 주는 작업, 무거운 짐을 드는 작업 등은 근로자의 근육과 뼈에 무리를 줘 부상을 입히기 쉽다. 하지만, 육체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긴장감과 초조함 등의 심리적 요인이 근로자의 근육을 수축시키며 무리한 작업을 진행시켜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른바 산업재해 중 사고가 아닌, 직업성 질병이 대부분이 여기에 해당하는 셈이다. 25일 세이프티플러스헬스 등 외신과 국내 산업계에 따르면, 유럽안전보건기구(European Agency for Safety and Health at Work) 연구에 따르면 과도한 업무량, 상충되는 요구, 경영진의 지원 부족 등이 직장 내 근골격계 질환 발생에 기여하는 심리사회적 요인 중 일부로 작용했다. 심리사회적 위험요인과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원인적 역할의 증거적 근거와 관련된 논문 53개를 통해 “근골격계 질환과 직장 스트레스 모두 근로자와 고용주에게 큰 문제를 계속 제기해 상단한 개인적·재정적·사회적 비용을 초래한다”고 연구진들이 말했다. 다른 잠재적 요인으로는 ▲비효율적 의사소통 ▲수행방식에 대한 영향력 부족 ▲성희롱 등이 있었으며 이러한 인들은 피로와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