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 감축 위한 인체공학적 근무환경 조성, 이렇게 해보자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대부분 기업의 근무환경은 오랫동안 서있거나, 무거운 물질을 들어올리며 때로는 사무실에서 고정된 자세로 하루를 컴퓨터 앞에서 몇 시간 동안 보낸다. 이러한 상황은 모든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요소로 이어지는데 작업을 위해 과도한 힘과 동작을 사용하거나 신체를 굽히고 비트는 부자연스런 자세 취하기, 반복전인 동작, 진동, 온도 등은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19일 사세이프티플러스헬스(Safety+Health)와 산업업계에 따르면, 근골격계 질환은 근육, 신경, 힘줄, 관절, 연골, 척추 디스크의 부상으로 이것은 인체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장애요소다. 국내의 경우 최근 5년간 근골격계질환의 산재승인 신청 건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 손이나 손가락의 저림, 다리의 따끔거림, 통증 등 근골격계 증상이 나타난다면 작업환경에서 사용하는 장비와 도구, 반복되는 작업에 대한 인체공학적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 근로자들이 어색한 자세로 앉거나 서있는 자세, 반복되는 동작, 열, 추위, 진동 등이 발생할 수 있는 근골격계질환 발생, 우려사업장, 근골격계질환 다발 업종 등에 대한 유해위험 요인 을 확인하고 제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