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 위험 제조현장, 안전보호장구부터 이렇게 챙기자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제조시설과 환경에서 작업하면 화학물질, 기계, 전기 불꽃, 낙하 물체, 날카로운 도구 등 수많은 위험이 매번 다른 형태로 찾아온다. 이런 위험은 결국 산업재해에 따른 사망 사고로 이어지는 만큼, 사전적 예방조치가 더욱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고용노동부가 지난 3월 발표한 지난해 산업재해 사고사망 자료에 따르면, 작년 사고사망자는 총 828명인데, 이중 건설업 417명으로 전체 50.4%로 가장 많다. 제조업 사고사망은 184명으로 1위에 비해서는 크게 적지만 22.2%로 적지 않다. 걸설 ‧ 제조업의 비중은 총 70% 이상으로, 각종 안전사고의 대부분이 여기서 발생하는 셈이다. 안전보건 전문가들은 이런 안전위험에 대한 통제력을 확보하는 것은 적절한 개인보호장비(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를 활용하는 것과 같은 사전 예방적 조치부터 시작되는 만큼, 이에 대한 '첫걸음 대책'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미국 산업안전위생뉴스(Industrial Safety&Hygiene News, ISHN)는 더 나아가 구체적인 지침을 아래와 같이 내세워야 안전 보장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