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장서희 기자 | 삼성생명(대표 전영묵) 컨설턴트 10명 중 7명은 가족, 친구 등 다른 사람에게도 컨설턴트 직업을 추천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삼성생명은 자사 컨설턴트를 대상으로 직업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5,000여 명이 참여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2.5%가 ‘컨설턴트’ 직업에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이들 중 77.6%는 컨설턴트 직업을 주변 사람들에게 추천하겠다고 응답했다. 실제로 추천의향을 보인 삼성생명 컨설턴트의 63.3%는 주변 지인에게 컨설턴트 직업을 추천하여 함께 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한만큼 보상 받는 직업, 고객에게 인정받을 때 가장 보람 느껴” 컨설턴트들이 직업에 만족하는 주요 이유는 ‘노력한 만큼 성과에 따른 인정과 보상’(34.5%)’이 가장 컸다. 성과에 따라 보상이 주어지는 구조가 컨설턴트들에게 큰 동기부여가 되고 있다. 실제로 만족도가 높다고 응답한 컨설턴트의 평균 소득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약 1.6배 높았다. 이는 컨설턴트의 직무 만족도가 높을수록 영업 성과도 비례해서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유연한 근무 환경’(27
한국재난안전뉴스 유예지 기자 | 지난 1월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됐음에도 안전사고 사망자가 뚜렷하게 줄어들지 않은 가운데, 어떻게 하면 안전사고를 줄이는가가 기업들의 핵심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기업 내 안전 확보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제대로 갖춰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안전 프로그램 확보를 위한 핵심 요소를 파악하고 점검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제안이다. 23일 미국의 환경보건저널인 EHS투데이와 산업계에 따르면, 안전 확보를 위한 지름길은 경영진과 근로자 모두 안전문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래는 안전 포그램 확보를 위해 필요한 제고 요소들이다. 기본적 요구사항, 법(Requirement: It’s The Law) 모든 조직내 직원 안전은 필수적이기에 각 나라에서는 산업에 필수적인 법을 적용하거나 해당 기관을 만들어 1970년 미국은 산업안전보건국(OSHA)를 설립해 모든 산업에 안전하고 건강한 근로조건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있다. 법으로 표준을 설정하고 규제한다면 작업장 부상 감소와 예방에 주력할 수 있다. 재정적 뒷받침(Financial Impact) 부상자 감소를 위해 기업이 신경써야 할 또 다른 주요 요인은 '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