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캄보디아에 납치된 우리 국민 납치에 소극적으로 나서서는 안된다는 의견이 나왔다. 여야는 13일 국회 질의 과정에서 "군사작전을 펴서라도 피해 국민을 구출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국무총리실 국조조정실장은 "납치·감금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면서 대응책을 강구하겠다고 답변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여야는 13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국무조정실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캄보디아에서 잇따라 발생한 한국인 대상 강력 범죄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을 한목소리로 주문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은 질의에서 "외교부 자료에 따르면 캄보디아 납치·감금 신고는 2021년 4건에서 2024년 220건으로 늘어났고 2025년 8월 말 기준으로는 330건"이라며 "연으로 환산하면 100회 이상 폭증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국무조정실은 국민의 실종 사건이 급증하는 기간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를 수행했느냐"며 "갑자기 올해 발생했던 게 아니고 2021년 이후 (신고가) 계속해서 폭증하고 있었는데도 이 부분 업무를 일부 놓쳤던 게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박범계 의원도 "지금까지 상황 인식과는 완전히 달라야 한다. 범부처가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전임 정부의) 어마어마한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수혜자가 캄보디아인데 그렇다면 이 문제를 외교적인, 경찰적인, 심지어 군사작전까지도 가능한 수준으로 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은 "올해 1∼8월 한국인 납치 신고 건수가 330건인데 드러나지 않는 납치 피해 인원이 파악되는 게 있느냐"고 묻고는 "우리 국민 수백명이 납치·감금돼 있고 절망적 상황인데 정부가 손 놓고 있어서야 되겠느냐"고 따졌다.
강 의원은 "2011년 우리 국민이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됐을 때 우리가 군사작전으로 구출했다"며 "캄보디아 군경과 협조해 우리 군이 군사작전을 벌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캄보디아가 군경 합동작전을 거부한다면 (ODA 투입 자금) 회수도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은 "지금 말씀하신 납치 감금에 대해선 저희가 큰 역할을 하지는 못했다"며 "(신고 건수가) 꾸준하게 증가한 상태인데 사실 심각하게 인식을 못 했던 것은 맞는 것 같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현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 국무조정실에서도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서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는 국무조정실장이 답변에서 "(군사작전)거기까지 안 가고 저희가 해결할 수 있으면 좋겠는데 하여튼 모든 것을 포함해 정부도 조치를 하겠다"는 분위기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