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돌봄은 국가와 지자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 과제로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통합돌봄 체계를 구축하겠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6일 의료‧요양 통합돌봄 광주광역시 현장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6일 오후 광주광역시를 방문하여 의료·요양 통합돌봄 시범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본사업 시행에 대비한 현장의 의견을 나눴다. 의료‧요양 통합돌봄은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시‧군‧구가 중심이 되어 돌봄 지원을 통합‧연계하여 제공하는 사업으로, 2024년 3월 26일 관련 법률*이 제정되어 2026년 3월 27일 전국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 「의료ㆍ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 약칭: 돌봄통합지원법 )」 이번 현장 방문은 내년 3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 및 본사업 실시를 앞두고, 시범사업 운영 현황을 면밀하게 들여다보며 개선할 점을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또한 현장 방문을 통해 통합돌봄 사업의 추진 취지를 실제 현장에서 구현하는 과정을 확인하고, 지금까지와는 달리 실질적으로 의료와 요양을 아우르는 통합돌봄 정책을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정은경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은 1년 반동안 이어온 의정 갈등과 관련, "의사배출 2년이상 공백 땐 여러모로 어려움이 가중된다"고 말하고 "신속히 정상화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특혜 지적이란 말도 있지만, 일방적 정책으로 시작된 것을 감안해야 한다"며 국민 눈높이에서 생각하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22일 취임식 후 출입기자단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정은경 복지장관은 또 "적정 의료인력 과학적 추계·국민 중심 의료개혁"등을 밝혔다. 정 장관은 특히 "2년 이상 의사 배출에 공백이 생기면 환자분들이나 국민들 입장에서도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며 "국민 눈높이로 신속하게 정상화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찾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의대생·전공의들에 대한) 특혜에 대해 굉장히 따가운 지적이 있다는 건 잘 알고 있다"면서도 "일방적인 정책으로 시작된 일들이라는 것도 좀 감안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정 장관은 의사·전공의 단체가 대화를 희망한다는 메시지를 낸 데 대해서는 "국민 눈높이로 의료 정상화를 어떻게 빨리할 건가에 대한 열망을 담았다고 생각한다"며 "좀 더 긍정적인 자세
한국재난안전뉴스 박소민 기자 | 서울대학교(총장 오세정)는 제31회 자랑스러운 서울대인 수상자로 신학철 LG화학 대표 부회장과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을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우선 신학철 부회장은 1979년 공과대학 기계공학과를 졸업해 국내 화학업계 발전과 산업 패러다임 혁신 그리고 친환경 소재와 녹색기술 연구개발 등을 통해 대한민국 산업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했다. 특히 탄소 배출량 감축 선언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가치 지향의 경영활동으로 지속가능한 사회 구축에 기여해오고 있어 이를 인정받았다. 정은경 청장은 1989년 의과대학을 졸업한 이후 1995년 국립보건원 연구관으로 공직을 시작한 이래 26년 동안 국민의 보건의료 수준 향상과 발전을 위해 노력해왔다. 특히 지난해부터 지속된 코로나 팬데믹 하에서 우리나라 방역체계 구축 등을 통해 국민건강과 안전을 지키는데 기여해오고 있다. 한편 서울대학교는 인격과 덕망을 겸비하고 국가와 인류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해 서울대학교의 명예를 드높인 분들을 지난 1991년부터 '자랑스러운 서울대인'으로 선정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