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콘텐츠팀 | 롯데건설(대표 하석주)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지난 2분기 매출 1조5197억원, 영업이익 1394억원의 실적을 달성했다고 19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15.2% 늘었고 영업이익도 34.6% 증가했다. 상반기 매출은 2조7438억원, 영업이익은 2456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각각 9.5%, 26.7% 늘었다. 차입금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6000억원 감소해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이어갔다. 이번 실적은 그동안 하석주 대표이사가 강조해왔던 내실과 수익성 중심의 경영 성과로 풀이된다. 화성 동탄 복합개발사업 등 대형 준공 예정 사업장과 주택, 건축, 토목 사업장의 착공 등이 안정적 매출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롯데건설은 상반기 수주 금액도 5조9155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8.5% 증가했다. 해외에서는 파키스탄 Lower Spat Gah 수력발전사업과 베트남 호치민 넌득빌라, 국내에서는 이수~과천 복합터널 민간투자사업, 광양 바이오매스 발전소, 대전 도안 신도시 2-9지구 개발사업 등 국내외 대형 사업장을 수주한 것이 실적 증가의 주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목동 성우2차 리모델링 사업, 창원
한국재난안전뉴스 콘텐츠팀 | 지역 생활 커뮤니티 플랫폼 기업인 당근마켓(대표 김용현·김재현) 이 1789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DST글로벌과 에스펙스매니지먼트, 레버런트파트너스 등 신규 투자사를 비롯해 기존 투자사인 굿워터캐피탈, 소프트뱅크벤처스아시아, 알토스벤처스, 카카오벤처스, 스트롱벤처스, 캡스톤파트너스 등이 참여했다. 투자 유치 과정에서 당근마켓은 기업가치 3조원을 인정받아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 기업)에 등극했다. 누적 투자 액수는 2270억원. 당근마켓은 최근 가입자 수 2100만명을 넘어서며 생활 밀착형 서비스 문화를 선도하고 있다. 2018년 1월 50만명이었던 월간 이용자수는 2019년 180만명, 2020년 480만명, 2021년 1420만명을 넘어섰다. 당근마켓은 이번에 들어오는 신규 투자 자금을 기술 고도화와 인력 채용, 해외 시장 진출 확대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하반기 자체 간편결제 시스템 '당근페이'를 출시하고, 지역 커머스 강화에도 본격 나설 계획이다. 현재 영국, 미국, 캐나다, 일본 등 4개국 72개 지역에서 운영 중인 글로벌버전 '캐롯(Karrot)'의 서비스 지
한국재난안전뉴스 콘텐츠팀 | 하나은행(행장 박성호)은 2020 도쿄 패럴림픽에 출전하는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단의 선전을 기원하며 후원금을 전달했다고 18일 밝혔다. 오는 8월 24일부터 내달 5일까지 개최되는 2020 도쿄 패럴림픽에는 총 158명의 대한민국 장애인 국가대표 선수단이 출전한다. 종합 20위권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 대한민국 선수단은 18일 탁구와 수영 선수단 등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도쿄 현지로 출국해 세계 각국의 선수들과 선의의 경쟁을 펼칠 예정이다. 이날 출정식은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별도 출정식 없이 기념촬영으로 대체됐으며 대한장애인체육회 정진완 회장, 주원홍 선수단장·하나은행 관계자 등이 참석해 선수단의 선전을 응원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대회가 연기되는 등 악조건 속에서도 묵묵히 땀 흘려 준비해 온 대한민국 선수들이 최고의 기량을 발휘하길 기원한다"며 "하나은행은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혼신을 다해 온 패럴림픽 국가대표 선수단의 선전을 응원한다"고 밝혔다. 한편 하나은행은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및 평창 동계 패럴림픽의 공식 후원사로 참여해 국가대표 선수단의 사기진작 지원과 더불어, 패럴림픽 참가 선수 및 교통
한국재난안전뉴스 온라인뉴스팀 | 대한항공(대표 조원태·우기홍)이 백신 수송을 포함한 화물 운송 증대를 바탕으로 5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올해 2분기 매출 1조9508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6849억원)보다 16%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969억원으로 31% 증가했다. 대한항공의 이런 실적은 2분기 화물 매출이 작년 4분기(1조3609억원)보다 많은 1조5108억원을 기록한 것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코로나19로 항공 여객수가 급감한 데 영향 받아, 코로나19로 늘어난 화물 운송 분야에 대한 사업을 강화하면서 '화물전용 여객기'를 운영하면서 실적 반등을 꾀한 바 있다. 이들 품목 중 대표 중인 것은 코로나19 진단키트, 방호복, 마스크 등의 방역용품, 백신 등이다. 대한항공은 앞으로 글로벌 네트워크 및 화물기, 화물전용여객기 등 가용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수익 극대화에 나서고, 여객사업은 국제선 전세기와 국내선 제주 노선 중심으로 고객 확대에 나설 예정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주요 취항국의 입국 제한 정책과 백신 접종 추이, 백신여권 도입 여부, 트래블 버블 확대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