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고독사 75%는 중장년,이라는 뜻밖의 통계가 나왔다. 이들 세대는 통계조차 없는 '낀 세대'의 비극으로 불린다. 2017∼2023년 고독사 75%가 40∼60대로 집계됐다. 정부 실태조사는 그동안 청년세대에 집중해 왔었다. 이에따라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시급해보인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우리 사회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장년층이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 속에서 스러져가고 있다. 연합뉴스는 "최근 7년간 발생한 고독사 사망자 4명 중 3명이 40∼60대 중장년층이지만 이들을 위한 정부의 정책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라고 분석했다. 청년이나 노년층에 비해 정책적 관심에서 소외된 '낀 세대'의 비극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방치된 중장년, 고독사 위험 최고 수준 6일 국가데이터처의 국가통계포털 자료와 국회입법조사처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발생한 고독사 사망자 2만1897명 중 74.8%가 40∼60대에 집중됐다. 구체적으로는 50대가 31.1%로 가장 많았고, 60대(27.9%), 40대(15.8%)가 그 뒤를 이었다. 사회적으로 가장 활발해야 할 나이에 실직, 가족관계 단절 등 복합적인 위기를 겪으며 사회
한국재난안전뉴스 김세미 기자 | 카카오뱅크(대표 윤호영) 고객이 올 들어 8초에 1명꼴로 늘어나며 지난 8월말 기준으로 총 가입자수가 1700만명을 넘어섰다.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2834만명)의 60%가 이른바 '카뱅'을 쓰고 있는 셈이다. 카카오뱅크는 지난달 기준으로 자사의 카카오뱅크를 쓰는 총 고객 수가 1717만명으로 집계됐으며, 카카오뱅크 계좌를 개설한 고객이 1502만명, 모임통장 등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이 215만명을 각각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월간 실사용자 수(MAU)는 1400만명으로 금융 앱 부문 1위다. 재방문 비율은 80%, 탈퇴 고객 비율은 0.7%로 각각 나타났다. 눈에 띄는 점은 이른바 스마트폰에 익숙한 중장년층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올해 새로 계좌를 개설한 고객의 약 50%가 40대 이상이었다. 카카오뱅크는 초기에는 대부분이 2030세대 층이었는데, 이후에 꾸준히 연령층이 높아지면서 연령층으로 고객 기반이 확대된 셈이다. 2017년 7월과 2021년 8월 기준 연령별 계좌 개설 고객 비중을 살펴보면, 40대 비중은 21%에서 24%로, 50대 이상 비중은 9%에서 16%로 각각 늘어나는 등 전 연령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