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장재원 기자 | 산림조합중앙회(회장 최창호)는 지난 27일 경북 의성군 산불 현장을 방문해 산불 대응 현황과 산림조합의 산불 진화 지원상황을 점검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최창호 산림조합중앙회장은 산불현장통합지휘본부를 방문해 임상섭 산림청장을 만나 산불 진화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 등을 지속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서 산불 진화 지원에 투입된 경북지역 회원조합장들과 산불 대응 회의를 열고 “산불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산림조합 진화인력과 장비 지원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면서 “진화인력의 안전 확보에도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최창호 중앙회장과 경북지역 회원조합장들은 의성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으로 순직한 조종사의 분향소에 방문해 조의를 표했다. 현재 산림조합은 경북·경남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진화를 위해 28일 기준 진화인력 1,241명, 장비 156대, 물품 14,000점을 지원했고, 앞으로도 산불 진화를 위한 지원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지난해 발생한 이태원 참사 등으로 재난 상황 대비대응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된 가운데 정부가 안전시스템 개편 및 지자체 협조 등에 대한 종합 토론을 개최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했다. 17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한창섭 차관 주재로 17개 시·도 부단체장이 참여한 가운데 2023년 제3회 중앙지방정책협의회 및 제2차 안전정책조정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❶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지자체 협조, ❷봄철 산불예방 및 대응 철저, ❸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구축 추진, ❹지방소멸 대응정책 추진 방향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이루어졌다. ➊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지자체 협조 먼저 행정안전부는 지난 1월 27일 발표한 국가안전시스템 종합 대책의 신속한 후속조치를 위해 자치단체에 조치할 사항에 대해 설명하고 협조를 구했다. 예컨대, ▴인파사고 등 선례 없는 재난 예측‧대비, ▴지역의 현장대응역량 강화, ▴피해 지원확대 및 안전문화 확산 등 지자체가 협조‧조치해야 할 4개 분야 21개 조치사항을 전달했고. 특히 인파사고 예방과 지자체를 중심으로 경찰․소방 등과 협력하여 사전안전조치를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종합대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최근 건조한 날씨로 산불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산림청이 6일부터 4월 30일까지를 '산불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총력 대응에 나선다. 산림청에 따르면 4일까지 발생한 올해 산불 184건 가운데 지난 주말부터 이날까지 8일간 총 85건이 발생하는 등 하루 10건이 넘는 산불이 연일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단계가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됐다. 산림청과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24시간 비상근무 체제로 전환하고 소속 공무원,직원들은 개별 담당구역을 정해 현장감시와 단속에 집중할 계획이다.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단계가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됨에 따라 국민에게는 산불위험 상황에 대한 재난 문자가 수시로 발송된다. 아울러 전력, 가스, 문화재 등 국가 중요시설에 대한 국가 차원 집중 점검을 통해 산불위험 요인을 사전 차단에도 나선다. 산림청은 전 직원을 대상으로 기동단속반(연인원 1만 2500명)을 편성해 특별단속에 나서고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련 부처도 이 기간 소관 산불 취약요인에 대한 합동 점검 및 단속을 추진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최근 산불은 주로 산림과 인접한 곳에서의 소각 행위로 발생하고 있다'며 '산림으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선임기자 | 고용노동부(장관 안경덕)는 17일 서울 중구 안전보건공단 서울광역본부에서 대한건설협회 등 기업 관계자들과 함께 겨울철 근로자 한랭질환 예방 회의를 열었다. 회의는 겨울철을 앞두고 근로자의 한랭질환 예방을 위한 대책을 논의하고 한랭질환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기 위해 마련됐다. 고용노동부는 이 자리에서 겨울철 한랭질환 산재 사례와 예방대책을 공유하고, 따뜻한 물.따뜻한 옷.따뜻한 장소 제공 등 한랭질환 예방수칙을 알리고 이행하는 데 적극적으로 앞장서 줄 것을 주문했다. 한랭질환은 대부분 건설업, 위생업 등 옥외작업을 수행하는 근로자에게서 발생하고 있어, 옥외작업자의 건강 보호를 위해 사업주의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고용노동부는 한파에 취약한 건설현장 등 옥외작업이 많은 사업장 지도.감독 시 한랭질환 예방수칙 이행 여부를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각종 매체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를 통해 한파 대응 요령을 홍보할 예정이다. 김철희 산업안전보건정책관은 “한랭질환은 심각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한파특보 상황을 수시 확인하고, 예방수칙 준수에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 적극적으로 동참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는 25일 가을철 수확을 위한 농기계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농기계 사고의 위험이 크다고 보고, 농기계 사용 농민은 사고 예방에 각별히 주의해줄 것을 요청했다. 지난 5년간(’16~‘20년, 합계) 발생한 농기계 교통사고는 총 2,102건. 이 가운데 304명이 사망하고 2,356명이 다치는 등 총 2,660명의 인명피해가 있었다. 이중, 수확철인 10월과 11월 농기계 전복 사고와 농기계로 인한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했다. 10월과 11월 평균 175건보다 1.5배 정도 많은 266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농기계 교통사고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농기계 사용 미숙으로 인한 사고가 많다. 이는 미성년자나 노년층이 농촌의 일손을 메꾸는 데서 서툴게 사용하다 나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를 통계로 살펴보면 차량과 차량간 사고가 61.9%(총 2,102건 중 1,301건)로 가장 많았고, 농기계 단독으로 발생한 교통사고도 33.3%(699건)나 되었다. 특히, 농기계 단독 교통사고의 절반(48.4%, 총 699건 중 338건)은 전도와 전복이며, 도로이탈 21%(147건), 그리고 공작물 충돌이 10.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