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헬러윈 축제가 돌아온다. 서양의 축제가 한국 젊은이를 흔드는기간이다. 과연 인파 밀집 관리는 잘되고 있는가. 이태원 악몽이 되살아나지 않도록 행정당국은 사고 예방대책을 철저히 세워야 할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31일 핼러윈 데이를 앞두고, 26일 서울 성동구 성수동 카페거리와 광진구 건대 맛의거리를 방문해 인파관리 대책을 점검했다. 이상민 장관은 성수동 카페거리를 둘러보며 보행을 방해하는 위험요소가 있는지 점검했다. 성수역을 찾아 역내 안전관리 현황을 확인하고, 횡단보도와 인접해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컸던 지하철번 출구에 대한 개선사항을 점검했다. 이 장관은 지하철 승하차 인원이 집중될 경우 지하철 증차, 무정차 통과 등 적극적인 교통관리 대책을 주문했다. 지난 7월 인파가 몰려 공연이 중단되었던 에스팩토리 공연장도 방문해 공연장 안전관리 대책을 점검하고, 현장 관계자에게 철저한 안전관리를 당부했다.이어, 광진구 통합관제센터에서 인파 안전관리 대책과 함께 위험 상황 발생 시 대응체계 전반을 확인하고, CCTV를 관제하고 있는 근무자를 격려했다. 건대 맛의거리 현장을 찾아 보행로 폭이 좁아 병목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지 점검하고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차량을 뒤집어엎는다는 위력의 태퐁 콩레이가 한반도에 북상할지 이동 경로에 관계 당국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25일 오전 미국령 괌 먼바다에서 발생한 제21호 태풍 콩레이가 북상을 거듭하고 있다. 콩레이는 일본 오키나와 인근을 지나친 뒤 진로가 결정될 전망이다. 일부에서 일본행을 언급했으나 기상청은 진로를 확정하긴 시기상조라고 설명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콩레이는 이날 오후 3시 기준 괌 북북서쪽 약 70㎞ 부근 해상에서 북서진 중이다. 중심기압은 996h㎩, 최대풍속은 시속 65㎞이며 강풍반경은 340㎞다. 태풍은 북상하며 29일쯤 강도 '강'까지 성장하겠다. 기차가 탈선할 수 있는 위력이다. 콩레이는 30일 일본 오키나와 남쪽 680㎞ 부근 해상까지 올라선다. 이때쯤 한반도 영향 가능성이 판가름 날 전망이다. 기상청은 "콩레이가 이제 발생했고, 한국과 거리가 있어 아직 유동성이 크다"고 밝혔다.일부에서는 수치예보 모델 전망치를 두고 일본 남쪽 먼바다로 지나칠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으나 기상청은 "확률이 높을 뿐 확정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했다. 콩레이(KONG-REY)는 캄보디아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산의 이름 중 하나다.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부산에 있는 주한 미군 시설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24일 부산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31분께 부산 동구 범일동 55보급창에서 불이 났다. 55보급창은 부산항으로 반입되는 미군 장비 등을 보관하는 미군 부대 시설이다. 불은 현재 가로 120m, 세로 40m 크기의 대형 창고를 태우고 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냉동창고 배관 공사 작업 중 불이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해당 창고 내부에는 공사 자재와 우레탄, 고무 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인화물질이 많아 창고 위로 거대한 불길이 솟아오르면서 시민들의 신고도 잇따르고 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소방본부는 화재 초기 대응 1단계를 발령했다가 오후 7시 55분을 기준으로 2단계로 격상했다. 대응 2단계가 발령될 경우 사고 발생지점 인근 8∼11개 소방서의 소방력이 동원된다. 부산시는 동구, 중구, 서구, 영도구, 남구 등에 "동구 55보급창에서 화재가 발생해 연기, 분진이 다량 발생하고 있으니 인근 주민들께서는 창문 단속 및 안전사고 유의 바랍니다"라고 안전 안내 문자를 보냈다. 현재 51대의 장비와 163명의 인력이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건강보험 거짓청구 요양기관 17개소 명단이 공표됐다. 사례들을 보면 주사를 투여하지 않았음에도 진료기록부에 거짓으로 기록하고 약제비 등을 요양급여비용으로 거짓청구하는 등 허위 보고, 서류 조작 등 다양하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2일부터 6개월간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을 거짓으로 청구한 요양기관의 명단을 보건복지부 누리집 등을 통해 공표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거짓청구로 공표된 요양기관은 17개 기관으로 의원 8개소, 치과의원 3개소, 한의원 6개소다. 명단공표는 매년 2회(상․하반기)에 걸쳐 실시하고 있다. 공표 대상 요양기관은 「국민건강보험법」 제100조에 따라 요양급여비용을 거짓 청구하여 행정처분을 받은 기관 중 거짓청구 금액이 1500만 원 이상이거나 요양급여비용 총액 대비 거짓청구 금액의 비율이 20% 이상인 기관을 대상으로 건강보험공표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한다. 건강보험공표심의위원회는 의료계, 소비자단체, 언론인, 변호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복지부 총 9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강보험공표심의위원회와 보건복지부는 대상자에게 명단공표 대상임을 사전 통지하여 20일 동안 소명 기회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바쁜 수확철 농기계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23일 본격적인 수확철을 맞아 농기계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농업에 종사하는 농촌 농가인구는 줄어들고 있지만, 농기계 사고는 연간 1000 건 이상 발생하고 있어 위험한 상황이다. 농가인구 추이(통계청 농림어업조사)를 보면 2021년 221만 5000 명, 2022년 216만 6000 명, 2023년 208만 9000명으로 해마다 해마다 수만 명씩 줄고 있지만, 농번기 농기계 사고는 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3년(2020~2022) 동안 농기계 사용 중 발생한 사고는 총 3729건이고, 이로 인해 229명이 사망하고 2482명이 다쳤다. (사고, 건) ‘20년 1269, ’21년 1076, ‘22년 1384 / (사망, 명) ’20년 78, ‘21년 79, ’22년 72건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시기별로는 농작물 수확 등으로 바쁜 10월에 농기계 사고(477건)와 인명피해(347명)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원인별로는 농기계 작업 중 끼임이 1,321건(35%)으로 가장 많았고, 농기계가 뒤집히거나 넘어지는 전복·전도 1,042건(28%),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올해 대한민국에 태풍 하나 올라오지 않을까. 22일 현재까지 태풍이 올라오지 않고 있고,, 금명간 올라올 '짜미'도 중국 본토로 날아갈 것 같다. 기상청에 따르면, 22일 오전 제20호 태풍 '짜미'(Trami)가 필리핀 마닐라 먼바다에서 발생했다. 태풍은 중국 홍콩 먼 해상을 거쳐 태국 북부를 향하고 있으며 국내 영향 가능성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은 "짜미는 이날 오전 3시에 발생했다. 필리핀 마닐라 동쪽 약 790㎞ 부근 해상에서 북서진 중이다. 중심기압은 994h㎩, 최대풍속은 시속 65㎞이며 강풍반경은 300㎞다"고 밝혔다. 태풍의 강도는 북상하며 강도 '중'을 유지하겠다. 건물 지붕이 날아갈 수 있는 위력이다. 짜미는 한국과 가장 가까울 때 거리가 2200㎞로 한반도 영향 가능성은 극히 낮다. 짜미는 베트남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장미과에 속하는 나무를 의미한다. 올해 태풍은 우리나라에 미친 것은 하나도 없다. 해마다 한두 개의 태풍이 지나가는데 올해만은 22일 현재까지 들어온 것이 없으며, 앞으로도 올 가능성이 그리 높지 않은 가운데 겨울철로 접어들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겨울철로 접어들면 태풍이 사그라지게 돼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23일)을 전후해 겨울 못지 않은 추위가 오겠다. 기상청은 22일 "22일부터 23일 새벽 사이 전국에 비가 내리겠다"고 예보하고. 절기상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에는 가을 추위가 엄습하고, 23일 오후부터 맑아지겠다고 예보했다. 그러나 강원도와 충북, 전북동부, 경상권은 23일 내내 비가 이어지는 곳이 있겠다. 아침 최저기온은 8∼16도, 낮 최고기온은 14∼21도로 예보됐다. 비가 그친 후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낮 기온이 22일보다 2∼5도가량 떨어져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15도 안팎이 되겠고, 바람도 강하게 불면서 체감온도는 더욱 낮겠다. 일부 지역은 체감온도가 0도까지 내려가겠다. 이틀간 예상 강수량은 서울·인천·경기, 대전·세종·충남, 충북, 광주·전남서부(전남남해안 제외), 전북 10∼50㎜, 서해5도(22일) 10∼30㎜, 강원도, 전남동부내륙, 전남남해안 20∼60㎜(많은 곳 전남 남해안 80㎜ 이상)다. 경상권과 제주도는 30∼80㎜(많은 곳 부산·울산·경남남해안 100㎜ 이상)의 비가 내리겠다. 올 가을은 짧을 것으로 내다보았다. 특히 22-23일은 기온이 뚝 떨어져 체감온도가 0도까지 내려갈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전국적으로 농어촌의 빈 집이 늘어나고 있다. 빈집 문제는 감염병에 노출될 수 있고, 범죄와 악취, 붕괴위험 등 여러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처럼 빈집은 주민 정주 여건을 악화시키면서 연쇄적으로 다른 빈집을 낳는다. 특히 늘어나는 빈 집으로 치안불안, 환경훼손, 범죄 유발 등 제반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근래는 대도시도 빈집이 늘어나 골치를 앓고 있다. 부산은 전국 광역지자체 중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르고, 그에따라 빈집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빈집은 부산 동구, 중구, 영도구, 서구, 부산진구 등 주로 옛 도심에 밀집해 있다. 이곳은 한국전쟁 당시 피난촌이 형성된 곳이다. 이후 산업화 시기를 거치며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 산 중턱까지 무허가 주택이 들어서고 여러 차례 개조와 중축을 거쳐 지금의 형태가 됐다. 산 중턱에 살던 피란 1세대나 2세대들이 고령화로 세상을 떠나거나 이사를 가고, 자녀들은 뿔뿔이 흩어지며 빈집만 남았다.오래된 건축물의 붕괴위험으로 주민들이 어쩔 수 없이 집을 남겨두고 떠나야 했던 곳도 있다. 비가 올 때마다 붕괴 위험에 이주가 시급한 상황인 곳도 많다. 도시의 빈집은 부산만이 아니다. 광주, 대전, 창원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겨울 못지 않은 북풍이 몰아친다. 18일부터 기온이 떨어지고 19일과 20일엔 기온이 더 떨어진다. 기상청은 17일 이번 주말 겨울 같은 가을이 찾아오겠다고 예보했다. 이날 기상청에 따르면 저기압이 지나가면서 기온이 떨어지고 전국에 비가 내릴 전망이다. 비는 17일 밤 제주에서 시작해 18일 낮 전국으로 확대되겠다. 저기압이 한반도를 통과하는 시점은 18일 낮부터 19일 새벽까지겠지만, 이후에도 일부 지역에 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강원 내륙은 19일 오전, 충북과 영남은 19일 낮, 저기압에 뒤이어 북쪽에서 확장하는 고기압에서 부는 동풍을 맞는 강원영동 등 동해안 쪽은 19일 밤까지 강수가 계속되겠다. 가을비치고는 강수량이 꽤 많겠다. 18~19일 예상 강수량은 강원동해안·산지 50~100㎜(최대 120㎜ 이상), 부산·울산·경남남해안·경북북부·울릉도·독도 30~80㎜(부산과 경남남해안 최대 100㎜ 이상), 수도권·서해5도·강원내륙·충청 20~60㎜(경기북동부·강원내륙·충북 최대 80㎜ 이상), 호남과 제주 10~60㎜(전남동부남해안 최대 80㎜ 이상), 대구·경북남부·경남내륙 10~50㎜이다. 최근 맑은 날이 이어지
한국재난안전뉴스 이계홍 기자 | 한반도가 위태롭다. 북한이 15일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 일부 구간을 폭파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합참은 이날 국방부 출입기자단에 보낸 문자메시지를 통해 "북한군은 오늘 정오께 경의선 및 동해선 일대에서 (남북) 연결도로 차단 목적으로 추정되는 폭파 행위를 자행했으며, 현재는 중장비를 투입해 추가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날 낮 북한은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 일부 구간을 폭파했다.북한은 지난 8월 경의선과 동해선 철도를 차단한 데 이어 도로 폭파로 남북 간 육로를 완전히 끊은 것이다. 경의선·동해선 철도와 육로 복원은 1992년 2월 발표한 남북기본합의서에서 '끊어진 철도와 도로를 연결'에 합의한 데서 비롯돼 2000년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본격 추진됐다. 분단과 6·25전쟁으로 끊어진 국토의 허리를 다시 잇는다는 역사적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2000년 7월 제1차 남북장관급회담에서 경의선 철도 연결에 합의하고 2002년 4월 임동원 당시 특사가 방북해 동해선 철도·도로 연결에 합의하면서 그해 9월 경의선·동해선 철도·도로 연결사업 착공식이 동시에 열렸다. 2002년 말에는 경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