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후보들! 복합쇼핑몰이 아니라 RE100과 ESG야!

대선후보, 당면한 현실 직시하는 공약과 정책 제시해야

한국재난안전뉴스 최종걸 편집인 | 세계 최대 온라인 전자상거래업체인 미국의 아마존은 고객들이 주문한 상품을 배송할 차량을 대기오염의 주범인 탄소를 배출하는 기존의 내연기관(디젤차량과 가솔린차량)비중을 줄이고 친환경 전기차로 대체하겠다고 했다. 이른바 제품생산에 필요한 전기를 100%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RE100'그룹에 가입했다.

 

삼성전자와 경쟁하는 애플도, 세계적인 검색엔진 회사인 구글도 재생에너지 사용 100% 시대에 동참했다. 리뉴어블 에너지(Renewable Energy) 100%를 축약해 알리(RE)100으로 지난 2014년부터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로부터 불기 시작한 재생에너지 사용 운동이 불과 수년 사이에 기업 존망의 기준이 되는 수준까지 부상하고 있다.

 

여기에다 어떤 산업 분야가 친환경 산업인지를 분류하는 녹색 산업 분류체계인 택소노미(Taxonomy)는 유럽연합(EU)이 국가 차원에서 들고 나왔다.

 

기업에서는 친환경, 친사회, 건전한 지배구조를 요구하는 이에스지(ESG) 경영이행 여부를 요구받고 있다. 재무적 고려가 아닌 자연을 살리고 사회적으로 상생하는 경영목표를 실천하고 있는가 여부이다.

 

예전엔 듣도 보지 못한 RE100, 택소노미, ESG 등의 신조어가 최근 몇 년 사이에 기업과 국가의 사활이 걸린 화두로 떠오른 것이다. 우리가 용어조차 생소한 사이에 최근 유럽 최대 연기금 운용사인 네덜란드 연금자산운용(APG)이 삼성전자를 포함한 국내 주력 수출역군인 대기업 10곳에 탄소 배출 감축을 요구하고 나섰다. 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을 경우 투자금을 회수하겠다는 으름장이다.

 

APG가 서한을 보낸 기업은 삼성전자, 현대제철, SK, SK하이닉스, LG화학, LG디스플레이, 롯데케미칼, 포스코케미칼, LG유플러스, SK텔레콤 등 우리의 주력 수출업종인 반도체·디스플레이·화학·철강 등이 모두 포함됐다. 주식시장에서 이들 회사 지분현황중 외국계 지분 여부는 투자자들의 신뢰성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발등의 불이나 다름없다. 글로벌 장기투자자들을 주주로 참여시키고 세계시장에서 친환경 기업으로 거듭나야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이 현실이 된 것이다.

 

대권후보들이 대선토론에서 RE100이 뭔지 꼭 알아야하는지가 아니라 RE100을 구체적으로 실현해야할 정책을 갖고 국가 미래 담론으로 토론해야한다. 용어조차 모른 체 나와서 한마디 아는 게 대수냐는 식의 말장난은 우리 현주소다. 하지만 RE100은 이미 오는 2050년까지 달성해야할 과제이다. 특히 수출로 무역의 장벽을 넘어야 하는 우리로써는 재생에너지 사용의무화에 대한 도전은 반드시 실현해야할 목표이기도 하다. 주요 수출상대국들이 탄소를 배출해서 만드는 모든 상품에 대해 관세에 더해 탄소세를 부과하려는 상황이라 한국 수출품도 가격경쟁력에 직접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수출 강대국으로 가야할 길목이 결코 쉽지 않다는 이야기다. 넘어야할 산과 계곡이 첩첩산중이다. 투자가들은 투자가들대로 ESG 기업경영을 요구하고 있고, 각국은 각국대로 탄소세를 부과하겠다고 벼르고 있기 때문이다.

 

대선후보들이 선거공약이라고 특정지역에 가서 복합쇼핑몰 유치 타령으로 설전을 벌이는 사이에 국제 투자가들은 기후와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서는 투자금을 회수하고 투자를 하지 않겠다는 엄중한 경고장을 받고 있는 엄혹한 현실이다.

 

기업들이 ESG경영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할 수 있도록 에너지 정책부터 지배구조 개선까지 경제정책의 일대 혁신을 놓고 미래를 고민해야할 때다. 미래 먹거리를 제시해야할 이때에 지역에 가서 ESG에 반하는 복합쇼핑몰 타령을 할 때가 아니라는 이야기다.


기획·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