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의 안전, 생존을 위한 필수 경영 전략으로 자리 잡아

2025.09.23 13:58:31 이용훈 기자 safetynews11@gmail.com

국민연금공단, ‘NPS 안전패트롤’로 중대재해 예방 강화
사전에 유해․위험 요인 점검하고 개선대책 마련

 

한국재난안전뉴스 이용훈 기자 | 공사현장은 언제든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수많은 위험 요인이 도사리는 곳이다. 최근 연이어 발생한 중대재해는 ‘안전불감증’이 여전히 현장에 뿌리 깊게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올해부터는 일반 기업에서 중대재해 사망사고가 1년에 3건 이상 발생할 경우, 영업이익의 5%에 달하는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을 정도로 처벌 수위가 강화됐다. 안전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기업 생존의 문제다. 이에 정부는 ‘안전한 일터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공공기관도 발 빠르게 대응체계 마련에 나서고 있다.

 

국민연금공단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대법원 판결 등 최근 안전 관련 법·제도 변화를 고려해 현장의 위험요인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동했다. 핵심은 공단이 신설·운영 중인 「NPS 안전패트롤 현장점검」이다. 이 제도는 내·외부 전문가가 고위험 공사현장에 직접 참여해 구조적 위험요인을 분석·점검하고, 유해·위험요인을 조기에 제거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실제 올해 부산사옥 승강기 교체 현장, 청풍리조트 오수처리장 보수 현장, 인재개발원 신축 공사 현장 등을 대상으로 한 점검에서 총 44건의 유해·위험요인이 발굴됐다. 공단은 즉시 개선조치를 시행하며 현장의 안전성을 높였다.

 

공단은 점검 활동에 그치지 않고, 고위험 작업 시 유해·위험요인의 제거·대체 및 통제 방안을 현장에 직접 적용하도록 했다. 특히 작업계획서 작성과 함께 TBM(Tool Box Meeting,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을 강화해 근로자 스스로 위험을 인식하고 공유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 이는 단순한 형식적 회의가 아닌 실질적 ‘안전 브리핑’으로 정착시키려는 취지다.

 

국민연금공단은 업(業)과 연계한 사회공헌 활동에서도 안전을 키워드로 삼고 있다. 전북 지역 자매결연 마을인 군산 방축도 가구를 대상으로 전기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화재경보기 등을 설치했다. 또 고령·독거 기초수급자 가구에는 ‘응급안전 안심서비스’ 내용을 담은 안부전화 서비스 매뉴얼을 배포하는 등 지역사회 안전망 확충에도 힘을 쏟았다.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반복되는 산재 사망사고로 인해 안전관리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안전경영을 최우선에 두고 안전한 일터 조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인재개발원 건설, 청풍리조트 운영 등 전 사업현장에서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 조치를 철저히 시행하겠다”고 덧붙였다.

 

중대재해가 발생할 경우 기업은 막대한 인명·재산 피해뿐 아니라 과징금과 형사처벌, 평판 리스크까지 떠안아야 한다. 이제 안전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넘어 ‘생존을 위한 필수 경영 전략’으로 자리 잡았다.

 

국민연금공단의 ‘안전패트롤’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공공기관이 모범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선제적 모델로 평가된다. 민간 기업 역시 단순히 법적 처벌을 피하기 위한 수준을 넘어, 현장 근로자와 국민 모두의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 경영 패러다임을 구축해야 한다는 교훈을 던진다.

Copyright @한국재난안전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한국재난안전뉴스 | 주소 : (028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23길 47, 603-486호 | 전화번호 : 02-735-0274 등록번호 : 서울,아53882 | 등록일 : 2021-08-11 | 발행일 : 2021-08-11 | 발행인 : 김찬석 | 편집인 : 이계홍 Copyright @한국재난안전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